전체 글(33)
-
Google Analytics API 사용법 ②
GA를 활용하여 행동데이터를 수집하고 대시보드를 통한 분석 이외에 API 호출을 통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대시보드에서는 나타낼 수 없는 표나 그래프를 작성하거나 해당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계분석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지난 포스트에 이어 이번 포스트에서는 연동을 위한 설정 이후 실제 데이터를 가져오는 방법에 대한 가이드이다. Google Analytics API 사용법 ① GA를 활용하여 행동데이터를 수집하고 대시보드를 통한 데이터 분석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정형화된 솔루션이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커머스 산업 중심으로 보여지는 전자상거래 대시보드들은 bgradecoding.tistory.com 1. GA에 설정된 맞춤 정의 가져오기 GA 구성을 진행하면 해당 계정에 여러 정보를 만들어야 한다. GA에서 ..
2022.01.09 -
Google Analytics API 사용법 ①
GA를 활용하여 행동데이터를 수집하고 대시보드를 통한 데이터 분석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정형화된 솔루션이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커머스 산업 중심으로 보여지는 전자상거래 대시보드들은 다른 산업에서 쓰기에는 무리가 있고 여러개의 필터링을 걸어서 비교할 수 있는 대시보드는 만들 수 없다. 또한 레거시 DB에 있는 데이터를 GA데이터와 합쳐서 분석하기에도 한계가 분명하다. 이 한계를 뛰어 넘기 위해 빅쿼리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지만 비용 문제가 수반된다. (GA4는 빅쿼리가 무료 연결되고 무료로 어느정도 쓸 수 있지만 제한이 있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API를 활용하는 것이다. API 호출을 통해 전달받은 데이터로 대시보드에서는 나타낼 수 없는 표나 그래프를 작성할 수 있고 해당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
2022.01.05 -
[React-Typescript] form 지옥에서 벗어나기 (formik)
React로 서비스를 개발하다보면 사용자 입력을 받아 처리하는 서식, 즉 form 형태를 많이 만들어야 한다. 대표적인 form으로는 모든 서비스에 거의 다 있는 로그인 기능이다. 아래는 React에서 Typescript 기반으로 작성한 단순한 로그인 form 예시다. import React, { ReactElement } from 'react'; interface LoginForm { email: string; password: string; } export default function Login() { const [email, setEmail] = React.useState('') const [password, setPassword] = React.useState('') const handleSub..
2021.12.30 -
프로그래밍의 근본, 알고리즘 (feat. 코딩테스트)
프로그래밍은 문제 해결능력이다. 프로그래밍은 매우 복잡한 과정이며 조합의 결과물이다. 지금 세상에는 배워야할 언어도, 라이브러리도, 프레임워크도, 심지어 SaaS 서비스까지 그 수는 헤아릴 수없을 정도이다. 프로그래밍의 전체 과정은 이를 잘 조합해서 서비스를 만드는 과정이다. 간단한 웹사이트 만들기에도 많은 결정사항들과 조합이 따라온다. 일단 비즈니스를 웹에 잘 녹이는 의사결정부터 해야한다. 여기만 해도 벌써 머리가 아플 것이다. 기능정의 부터 사용자 친화적 UI/UX, 사이트맵 등등이 따라온다. 기술적으로 들어가면 프론트앤드는 무엇으로 할것인지 백엔드는 어떤 언어와 프레임워크의 조합으로 갈 것인지 협업 툴은 무엇을 사용할지 인프라는 어떻게 구성할지 아니면 그냥 SaaS 서비스를 활용할지 결정해야할 포인..
2021.12.27 -
Atomic Design Pattern (feat. React, Vue, Flutter)
현재 프론트엔드 분야에서 제일 잘 나가고 있는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 및 프레임워크를 뽑으라면 누구도 주저없이 React와 Vue를 뽑을 것이다. 또한 얼마전 2.0을 발표한 Flutter 역시 모바일 분야에서 그 입지를 다지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3가지( React, vue, Flutter )가 공통적으로 가지는 특징이 있다. 바로 Component 중심 설계 패턴으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예전의 UI 개발은 하나의 페이지를 통으로 설계하는 방식이 대부분이였다. 이는 기능별 재사용성 및 페이지 상태에 따른 .class 분기나 CSS 상속 등을 고려하여 작업했다. 하지만 컴포넌트 중심 설계 패턴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들이 유행하면서 컴포넌트들을 잘 쪼개서 설계하고 이를 합쳐 하나의 페이지를 만드는 방식..
2021.12.26 -
개발자가 이해하는 북극성 지표(North Star Metric)
개발을 도와주는 SaaS(Software-as-a-Service)형 서비스가 많아지면서 과장을 조금 보태면 비즈니스만 알고도 제품이나 서비스를 런칭할 수도 있다. 디지털 마케팅은 점차 고도화 되고 있고 제품 혹은 서비스에 대한 측정은 이제 기본이 된 시대이다. 그러면서 마케터,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개발자 간의 경계가 명확했던 선은 점점 희미해지고 있다. 또한 데이터를 통한 조직 경영이 활발해지면서 조직의 지표관리가 확대되고 있다. 한마디로 개발자도 개발만 해서는 안되는 시대가 되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개발실력은 베이스가 되어야 한다. 방망이도 제대로 못잡는 타자가 투수가 던지는 공을 연구하겠다며 투구폼 분석을 하고 있는건 어불성설이다. 개발이 기본이라는 전제 아래 내가 개발하고 있는 혹은 운영하고 있..
2021.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