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 4. 03:37ㆍ구글 애널리틱스(GA)
1. 구글 애널리틱스(이하 GA)란?
요즘 GA는 여러곳에서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구글이 2005년 3월 웹분석 전문 업체인 어친 소프트웨어(Urchin Software)를 인수한 후
그해 11월 구글 애널리틱스 서비스를 출시한 후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고,
이제 이 서비스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사이트나 앱을 찾기 어려울 정도이다.
GA는 한마디로 정의하면 로그 분석 도구이다.
웹이나 앱에 방문한 사용자들이 어디를 클릭하고 어디를 보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으로
운영자들에게 비즈니스를 더 성장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주는 것이다.
2. 구글 애널리틱스(GA)가 각광받는 이유
과거에는 모든 비즈니스가 오프라인에서 일어났다. 그래서 비즈니스 운영자들은 매장을 잘 꾸며야했다.
또 매장에 잘 방문하게끔 하는게 매우 큰 목표이고 관심사였다.
그래서 매장앞에서 호객 행위도 하고 인테리어에 공을 들이기도 했다.
하지만 디지털화와 더불어 온라인 비즈니스가 성행하게 되었고,
킹시국과 맞물려 거의 모든 비즈니스가 온라인으로 가고 있다.
그래서 비즈니스 운영자들이 이제는 오프라인 매장 꾸미기를 온라인에서 해야하는 시대가 되었다.
그렇다면 일단 사용자들이 온라인 웹이나 앱에서 무슨 행동을 하는지 알아야 했고 거기에 맞는 사이트 개선 및 앱 개선이 이뤄지는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인사이트를 주는 로그 분석 툴이 각광받게 된 것이다.
이런 툴은 많은 종류가 있다.
구글 애널리틱스는 그 중에서도 높은 사용률을 보이고 있다.
3. 마케터도 아니고 비즈니스 운영자도 아닌 개발자가?
그렇다. 우리는 개발자이다.
사실 이건 마케터들이 제품의 판매량이나 콘텐츠 소비량을 늘리는 전략을 짤 때 더 필요하다.
그런데도 이런 인사이트 제공 툴에 대해 알아야할까? 답은 YES다
이렇듯 로그분석이 기본이 되어버린 시대에서 어느 구축 프로젝트에 가던 이 툴에 대한 설치는 필수이다.
그럼 설치법만 구글링으로 보고 하면 되는게 아닐까? 답은 No다
단순 설치는 사실 비개발자도 따라하는게 가능할 정도로 쉽다. 태그하나만 넣으면 끝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좀 더 복잡한 분석을 하고 싶고 운영되는 시스템의 특성을 고려한 설치는 여전히 개발자의 몫으로 남아있다.
ex) SPA 구조의 페이지 뷰 설정, 크로스 도메인 설정 등
그래서 우리는 이 툴을 알아야 한다.
대충 이 툴에 어떤 메뉴가 있고 어떤 분석을 제공해서,
우리는 어떤 데이터를 이 툴에 보내주는 코드를 심어야하는지 대충은 알 필요성이 있다.
4. 가입 및 설치
이 블로그에 구글 애널리틱스를 설치해 보고 애널리틱스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쭉 포스팅할 예정이다.
같이 이 툴을 마스터 하고 혹 다른 툴을 프로젝트에서 설치할 상황이 생겨도 GA 지식을 베이스로 유연한 설치가 가능했으면 한다.
일단 준비물 : 구글 계정, 크롬 브라우저
Google analytics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서 우리를 격하게 환영해 준다.
측정시작 버튼 Click!
계정 설정에서 계정 이름에 원하는 이름을 넣는다.
나머지 체크박스는 그대로 둔다.
다음 버튼을 눌러 속성 설정으로 넘어간다.
속성 이름을 넣고 시간대와 통화를 대한민국으로 설정한다.
따로 원하는 시간대와 통화가 있다면 그것으로 설정한다.
로그를 분석해서 보고서 형태로 올려주는 시간대와 나중에 비즈니스에 적용했을 때 매출 분석 등에 표현 될 통화 정보이니 필요에 맞게 설정한다.
- 계정, 속성은 무엇인가?
GA 계정 구조가 3단계로 되어 있다. 계정, 속성, 보기가 그것이다.
이는 큰 기업들이 GA를 관리하는데 편리함을 주기 위해 계층 구조를 사용한 것인데
계정은 하나의 기업이라고 보면된다.
속성은 그 기업이 가지고 이는 웹, 앱 등의 채널에 하나씩 맵핑된다.
삼성전자라는 계정에 삼성전자 홈페이지 속성, 삼성전자 앱 속성이 있는 것이다.
보기는 속성을 분석한 보고서이다.
삼성전자 홈페이지 속성에 여러가기 보기 보고서가 있는 것이다.
!!!! 주의해야할 점
꼭 고급옵션보기 버튼을 눌러야한다.
여기서 꼭 유니버설 애널리틱스 속성 만들기를 On으로 해주는 것이 좋다.
그러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고 우리의 블로그 주소를 넣어주면 된다.
아래 라디오 버튼도 유니버설 애널리틱스 속성만 만들기로 바꿔준다.
이와같이 하는 이유는 구글이 애널리틱스 4라는 것을 업데이트 했다.
이것은 기존의 앱과 웹을 나눠서 사용자 로그 분석을 했던 것을 합쳐서 하겠다는 철학 아래 시작된 업데이트 이다.
하지만 아직 널리 사용되지 않고 있고 지금 구글링을 해서 나오는 GA에 대한 정보는 모두 유니버설 애널리틱스 속성으로 만든 정보들이다.
따라서 이렇게 해야 정보를 얻기도 편하다.
또한 애널리틱스 4는 아직 베타단계여서 나중에 언급할 구글 마케팅 플랫폼과의 연동이 잘 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 필자는 옵티마이즈라는 솔루션과의 연동을 하다가 계속 에러가 발생했다. )
그 이후 비즈니스 정보를 자신에 맞게 선택해 준다. ( 별로 중요하지 않다. )
만들기 버튼을 클릭한다.
위와 같은 약관 계약 화면이 나온다. 대한민국으로 바꾸고 모두 동의 한 후 동의함 버튼을 클릭한다.
모든 설정을 완료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뜰 것이다. 이제 블로그 혹은 사이트에 GA를 설치하고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추적 ID는 속성에 부여되는 고유값으로 잘 간수 하길 바란다.
사이트와 같은 경우 아래의 gtag.js 추적 코드를 html의 <head> 태그 안에 넣으면 설치는 끝난다.
티스토리 블로그의 경우 GA 플러그인을 제공하고 있다.
관리자 메뉴에서 플러그인 메뉴를 클릭하면 GA 플러그인이 보일 것이다.
플러그인을 누르면 추적 ID를 입력하는 란이 나온다. 여기에 아까 GA 콘솔에 있던 추적 ID를 입력한다.
그리고 적용을 누르면 모든 설치는 완료된다.
다시 GA 콘솔로 돌아와서 홈 메뉴를 누르면 현재 활성 사용자가 1로 바뀌면서 제대로 설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GA 콘솔에서 제공하고 있는 보고서를 간단히 알아보고 GA가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식에 대해 알아보겠다.
끝!
'구글 애널리틱스(G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로 GA 데이터 전송법 ( Tistory Blog에 활용 하는 법 ) (0) | 2022.01.20 |
---|---|
Google Analytics API 사용법 ② (0) | 2022.01.09 |
Google Analytics API 사용법 ① (0) | 2022.01.05 |
GA 스크립트나 GTM 스니펫 없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Measurement Protocol (0) | 2021.12.24 |
② GA 설치시 개발자가 고려해야 할 사항 5가지 (0) | 2021.01.09 |